정의


농업 부문을 제외한 미국 고용 변화량
미국의 실업률


발표기관
Bureau of Labor Statistics, Department of Labor


발표시기
중요도 A+
매달 첫째 주 금요일


내용


Non-farm Payrolls


미국 노동부가 200명 이상 노동자를 고용하는 약 25만 개의 비농업회사를 대상으로 임금장부 조사결과를 발표합니다. 미국의 유연한 고용시장으로 인해 경기 상황에 따라 고용지표는 큰 움직임을 보이고 시장에 큰 변동성을 준다. 지수 발표 시 시장의 움직임이 가장 큰 지표이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용이 많으면 개인이 받은 임금이 다시 소비를 일으키고 경제를 활성화시키게 됩니다.


실업률
노동할 의사와 능력을 가진 인구 가운데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써 낮은 실업률은 경기가 활성화되어 있고 이는 보다 많은 소득분배로 소비를 이끌어내며 경기가 활성화됩니다. 낮은 실업률은 경제 성장을 이끌지만 이로 인해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실업률은 경기침체 시 증가하게 됩니다. 경기가 부진하면 수익이 부진한 기업이 많은 해고로 종업원을 줄이기 때문이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


Non-Farm Payrolls


예상, 과거수치 상회 시 : 달러 가치 상승 예상
예상, 과거수치 하회 시 : 달러 가치 하락 예상


실업률
예상치 상회 시 : 달러 가치 하락 예상
예상치 하회 시 : 달러 가치 상승 예상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라는 단어가 상징하듯이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각종 물건의 가격을 조사한 것입니다. 

이 물건들의 가격이 옛날보다 평균적으로 올랐다면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했다고 하고, 

옛날보다 하락했다면 소비자물가 지수가 하락했다고 합니다.


복잡하신 분들은 아래의 핵심만 읽고 가시면 되겠습니다.

이 발표결과에 따라 전체 증시가 흔들릴 만큼 아주아주 중요한 지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예상치 상회 시 : 달러 가치 하락 예상


예상치 하회 시 : 달러 가치 상승 예상


수치 증가 시 인플레이션을 조정하기 위한 금리인상이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달러화 가치 상승이 예고됩니다.

 

채권, 주식, 코인 등 증시에 관한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미국 CPI 발표날은 기억해 두셨다가

모니터링하셔야 되겠습니다.


[ 핵심 포인트 ]

 

인플레이션을 측정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지표인 CPI는 소비자들이 구입한 특정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의 평균 물가 수준을 측정한 것으로,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가장 광범위하게 쓰입니다.

CPI의 월간변화는 인플레이션 증감률을 대표합니다. 

다른 나라와는 다르게 분기별로 발표되기 때문에, 매월 발표되는 인플레이션 예상치들이 CPI지표 추정에 도움이 됩니다. 정부에서는 CPI를 이용해 사회보장프로그램에, 민간 기업에서는 급여인상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일

반적으로 인플레는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상승을 의미하고,

금리는 물가상승률, 물가상승 기대치에 따라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물가가 오를 경우 금리 역시 오른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CPI는 현재까지 핵심적인 물가 지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품목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각종 물건의 가격을 조사한 것입니다. 

모든 물건들의 가격을 조사해서 옛날보다 물건의 가격이 평균적으로 몇 % 나 올랐는지 계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게
수십만, 수천만 가지나 되는 모든 물건의 가격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이 평균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물건의 가격만 조사하기로 한 것입니다.


CPI 말고도 참고할만한 지수들

 

생산자물가지수(PPI :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생산자가 국내시장에 출하하는 상품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물가지수로 1910년부터 편제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통계 중 하나다. 소비자물가지수 조사대상품목에 포함되지 않는 원재료·중간재·최종자본재 등도 조사대상에 포함되므로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포괄범위가 좀 더 넓은 물가지수라 할 수 있다. 2009년 현재 생산자물가지수의 기준연도는 2005년이며 조사대상품목은 884개(재화 801개, 서비스 83개)이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쉽게 말해,

미국 전역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하는 곳입니다.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 핵심은 노동, 물가, 금융, 부동산 등 경제 전반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위원회!!!

 

중요한 통화 정책 결정을 내리는 역할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패턴

 

금융시장에서 채권을 사고팔아서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현재 연방기금금리가 5%인데 

미국의 경제상황을 고려해 봤을 때 가장 적절한 연방기금금리가 1%라고 합시다.

이때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금융시장에서 열심히 채권을 사들입니다. 이렇게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채권을 사들이면 그만큼의 돈이 시중에 풀려 나가고, 그 결과 돈을 구하기가 쉬워져 연방기금금리가 5%에서 1%로 하락을 하게 됩니다.

물론 그렇다고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친히 나서서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결정만 하죠. 그러면 행동대장인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나서서 

어르신들이 시키는 대로 채권을 사고 팔아서 시중에 돌아다는 돈의 양을 조절합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의사결정 방식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투표권은 총 12장입니다. 12장 중 가장 많은 투표권을 가진 것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입니다. 7명의 이사가 각각 1장씩, 총 7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7장을 뺀, 나머지 5장은 미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12개의 연방준비은행총재가 돌아가면서 투표권을 행사합니다.

하지만 뉴욕 연방준비은행총재는 매번 회의에서 투표권을 행사합니다. 세계금융의 중심지가 뉴욕이고, 실제로 공개시장정책을 시행하는 곳이 뉴욕 연방준비은행인만큼 특권을 주는 것이죠.

투표권 12장 =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이사 7명 +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1명 +
11명의 연방준비은행 총재 중 4명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일정

연방공개시 장원회는 1년 동안 약 8번, 약 6주 간격으로 회의를 합니다. 그리고 회의를 통해 연방기금금리가 몇% 가 되는 게 적절한지, 또 시중에 돈을 얼마나 풀 것인지 결정을 합니다.

그런데 회의 주기가 1년에 8회로 딱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8번이 아니라 9번, 10번으로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발표 시 유의해야 할 3가지 사항

 

시장 변동성: 

FOMC의 결정은 투자자들이 뉴스에 반응함에 따라 시장 변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시장 반응에 따라 성급한 결정을 내리지 말고 침착함을 유지하며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고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리의 영향: 

연방기금 금리의 변화는 다양한 자산 유형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주식은 기업의 차입 비용 상승으로 인해 역풍을 맞을 수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및 전방 안내: 

위원회의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FOMC 발표에 사용된 언어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FOMC의 기대와 전망을 이해하면 정보에 입각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바로 비트겟이라는 거래소인데요. 현재 전 세계 거래소 중 15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왜 가장 수수료가 저렴할까?


15위이기때문에 더욱 높이 올라가기 위해 회원을 유치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수수료를 가장 싸게하여 회원들을 모으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 틈을 노리면 되겠습니다.

 

아래 링크로 가입하시면

비트겟 공식 파트너 코드로 최대 50%까지 할인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물 + 선물 둘 다 50%까지 할인이 되어, 수수료를 최대로 아낄 수 있습니다.

 

[ 유명 해외 거래소들 수수료 비교 ]

ㆍ바이비트 (Bybit) 
 지정가 -0.025%  
 시장가  0.075% → 0.06%


ㆍ비트겟 (Bitget)  [50% 할인코드]
 지정가 0.04% → 0.02% 
 시장가 0.06% → 0.03%

ㆍ바이낸스 (Binance) 
 지정가 0.02% → 0.018% 
 시장가 0.04% → 0.036%


자산 입금 수수료
(Deposit Fee) *소액 외부 입금 출금 수수료 (Withdrawal Fee)
1,000
비트코인(BTC)
0.00001
0.001
이더리움(ETH) 무료
0.01
이더리움 클래식(ETC) 무료
0.01
리플(XRP) 무료
1
비트코인 캐시(BCH)
0.001
0.001
퀀텀(QTUM) 무료
0.01
비트코인 골드(BTG)
0.001
0.001
이오스(EOS) 무료
0.1
아이콘(ICX) 무료
0.01
트론(TRX) 무료
1
엘프(ELF) 무료
10
카이버 네트워크(KNC) 무료
3.7
골렘(GLM) 무료
25
질리카(ZIL) 무료
0.1
왁스(WAXP) 무료
5
파워렛저(POWR) 무료
30
루프링(LRC) 무료
7
스팀(STEEM) 무료
0.01
스트라티스(STRAX) 무료
0.2
제로엑스(ZRX) 무료
19
어거(REP) 무료
0.3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무료
73
에이다(ADA) 무료
0.5
코르텍스(CTXC) 무료
2
베이직어텐션토큰(BAT) 무료
9.5
쎄타토큰(THETA) 무료
0.5
룸네트워크(LOOM) 무료
70
웨이브(WAVES) 무료
0.002
체인링크(LINK) 무료
0.4
엔진코인(ENJ) 무료
5.4
비체인(VET) 무료
100
메탈(MTL) 무료
2.7
이오스트(IOST) 무료
1
쿼크체인(QKC) 무료
0.01
라이즌(ATOLO) 무료
430
아모코인(AMO) 무료
1000
비트코인에스브이(BSV) 무료
0.001
오브스(ORBS) 무료
77
쎄타퓨엘(TFUEL) 무료
2
밸러토큰(VALOR) 무료
15
코넌(CON) 무료
1500
앵커(ANKR) 무료
85
믹스마블(MIX) 무료
500
크로노스(CRO) 무료
10
펑션엑스(FX) 무료
32
크로미아(CHR) 무료
17
무비블록(MBL) 무료
200
머신익스체인지코인(MXC) 무료
230
피르마체인(FCT2) 무료
0.03
트러스트버스(TRV) 무료
320
왐토큰(WOM) 무료
48
보아(BOA) 무료
32
미버스(MEV) 무료
2.5
솔라(SXP)
1
0.2
콘텐토스(COS) 무료
310
엘리시아(EL) 무료
540
하이브(HIVE) 무료
0.01
프로톤(XPR) 무료
80
베라시티(VRA) 무료
400
300피트 네트워크(FIT) 무료
2300
네스트리(EGG) 무료
1200
보라(BORA) 무료
1
알파(ARPA) 무료
120
크레딧코인(CTC) 무료
12
에이피엠 코인(APM) 무료
320
너보스(CKB)
61.99999999
1
아르고(AERGO) 무료
0.015
센트럴리티(CENNZ) 무료
6
이브이지(EVZ) 무료
140
퀴즈톡(QTCON) 무료
180
유니스왑(UNI) 무료
0.4
연파이낸스(YFI) 무료
0.0003
우마(UMA) 무료
0.6
에이브(AAVE) 무료
0.04
컴파운드(COMP) 무료
0.03
렌(REN) 무료
23
밸런서(BAL) 무료
0.9
리저브라이트(RSR) 무료
640
뉴메레르(NMR) 무료
0.4
아이젝(RLC) 무료
3
울트라(UOS) 무료
19
샌드박스(SAND) 무료
4
에스티피(STPT) 무료
430
고머니2(GOM2) 무료
1000
벨라프로토콜(BEL) 무료
2.5
옵저버(OBSR) 무료
200
오르빗 체인(ORC) 무료
4.6
폴라리스 쉐어(POLA) 무료
46
어댑터 토큰(ADP) 무료
190
디비전(DVI) 무료
8
게이머코인(GHX) 무료
27
마일벌스(MVC) 무료
80
블로서리(BLY) 무료
180
이포스(WOZX) 무료
8.9
애니버스(ANV) 무료
4
더그래프(GRT) 무료
7.3
바이오패스포트(BIOT) 무료
250
신세틱스(SNX) 무료
0.7
라이파이낸스(SOFI) 무료
5.8
그레이시(GRACY) 무료
250
오키드(OXT) 무료
18
리니어파이낸스(LINA) 무료
110
맵프로토콜(MAP) 무료
110
알파쿼크(AQT) 무료
3
플레이댑(PLA) 무료
24
위드(WIKEN) 무료
40
카르테시(CTSI) 무료
27
디센트럴랜드(MANA) 무료
5
라이브피어(LPT) 무료
0.4
메이커(MKR) 무료
0.004
스시스왑(SUSHI) 무료
0.8
어셈블프로토콜(ASM) 무료
27
펀디엑스(PUNDIX) 무료
2
셀러네트워크(CELR) 무료
270
아로와나토큰(ARW) 무료
1.6
프론티어(FRONT) 무료
55
랠리(RLY) 무료
16
오션프로토콜(OCEAN) 무료
11
바이프로스트(BFC) 무료
1
마이네이버앨리스(ALICE) 무료
1
오리진프로토콜(OGN) 무료
47
코티(COTI) 무료
75
팬케이크스왑(CAKE) 무료
0.8
뱅코르(BNT) 무료
4.6
비너스(XVS) 무료
0.6
트러스트스왑(SWAP) 무료
32
칠리즈(CHZ) 무료
27
엑시인피니티(AXS) 무료
0.15
다오메이커(DAO) 무료
6
식스(SIX) 무료
4
다이(DAI) 무료
15
시바이누(SHIB) 무료
1500000
폴리곤(MATIC) 무료
1
우네트워크(WOO) 무료
32
알케미페이(ACH) 무료
600
벨로프로토콜(VELO) 무료
7
스텔라루멘(XLM) 무료
0.01
웨이키체인(WICC) 무료
8
온톨로지(ONT) 무료
1
메타디움(META) 무료
1
클레이튼(KLAY) 무료
1
온톨로지가스(ONG) 무료
5
알고랜드(ALGO) 무료
0.1
저스트(JST) 무료
25
테조스(XTZ) 무료
0.3
밀크(MLK) 무료
3
폴카닷(DOT)
1.9999999999
0.15
코스모스(ATOM) 무료
-
썸씽(SSX) 무료
15
템코(TEMCO) 무료
200
클레이스왑(KSP) 무료
1
도지코인(DOGE) 무료
20
쿠사마(KSM)
0.00999999
0.01
셴투(CTK) 무료
1
심볼(XYM) 무료
1
바이낸스코인(BNB) 무료
0.001
에이피이앤에프티(NFT) 무료
20000
썬(SUN) 무료
20
이캐시(XEC) 무료
1000
솔라나(SOL) 무료
0.03
링크(LN) 무료
0.0
멀티버스엑스(EGLD) 무료
0.003
고체인(GO) 무료
2
디파인(DFA) 무료
12
코인98(C98) 무료
0.8
메디블록(MED) 무료
2.5
1인치(1INCH) 무료
12
보바토큰(BOBA) 무료
8
디와이디엑스(DYDX) 무료
9
플로우(FLOW) 무료
0.3
갈라(GALA) 무료
55
비트토렌트(BTT) 무료
50000
이피니티토큰(EFI) 무료
60
재스미코인(JASMY) 무료
2000
타이탄스왑(TITAN) 무료
10
리퀘스트(REQ) 무료
150
캐스퍼(CSPR) 무료
5
아발란체(AVAX) 무료
0.1
티드랍(TDROP) 무료
3
팬시(FANC) 무료
150
네오핀(NPT) 무료
0.1
레이(REI) 무료
0.5
쓰레스홀드(T) 무료
200
마브렉스(MBX) 무료
1
스테픈(GMT) 무료
0.3
알타바(TAVA) 무료
79
마인즈 오브 달라니아(DAR) 무료
5
아치루트(ALT) 무료
8
오닉스코인(XCN) 무료
350
갤럭시아(GXA) 무료
100
톡큰(TALK) 무료
140
아지트(AZIT) 무료
10
플레어(FLR) 무료
1
세이프팔(SFP) 무료
5
스텝앱(FITFI) 무료
20
스탯(STAT) 무료
40
크라토스(CRTS) 무료
26000
빅스코(VIX) 무료
860
레이블(LBL) 무료
4000
펠라즈(FLZ) 무료
6.1
베리(BERRY) 무료
14000
레저메타(LM) 무료
43
슈퍼워크(GRND) 무료
4
앱토스(APT) 무료
0.03
블러(BLUR) 무료
37
퍼블리시(NEWS) 무료
1500
클레이다이스(DICE) 무료
20
오아시스(OAS) 무료
20
훅트 프로토콜(HOOK) 무료
0.5
엔터버튼(ENTC) 무료
12
온버프(ONIT) 무료
770
옵티미즘(OP) 무료
0.25
로아코어(ROA) 무료
10
오브시티(ORB) 무료
1
지엠엑스(GMX) 무료
0.007
엑스플라(XPLA) 무료
1
립체인(REAP) 무료
1000
아하토큰(AHT) 무료
100
아비트럼(ARB) 무료
0.4
인젝티브(INJ) 무료
4
로켓풀(RPL) 무료
0.42
크립토지피티(GPT) 무료
340
콘플럭스(CFX) 무료
1
리도다오(LDO) 무료
14
수이(SUI) 무료
1
플로키(FLOKI) 무료
25000
페페(PEPE) 무료
15000000


이번에 비트겟(Bitget) 모바일 앱의 UI가 변경되면서 로그아웃 위치가 변경돼서 다시 올립니다.

 

사람 모양 아이콘 클릭

비트겟 홈


육각형 톱니바퀴 아이콘 클릭

비트겟 앱 설정


System settings 메뉴 클릭

비트겟 앱 설정 System settings


Sign out 클릭

비트겟 앱 Sign out

 

 

끝!!


이더리움 가격 영향 외에 샤펠라 업그레이드가 중요한 다른 요소 초간단 정리 3가지


1. 스테이킹된 ETH 인출

2022년 9월, 이더리움은 지분 증명(PoS)으로의 전환을 발표

이전까지 이더리움 => 작업 증명(PoW)과 채굴 메커니즘 사용 트랜잭션 처리 검증

PoS로 전환한 후에는 네트워크가 더 이상 연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굴기에 의존 X

 

2. 레이어 2 확장성 개선

이더리움 생태계가 계속 확장됨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비용 증가

레이어2 설루션은 트랜잭션 속도를 일부 최적화 후 트랜잭션 비용 감소 

그러나 이더리움의 가스 수수료는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에게 매우 비싼 편

샤펠라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 거래에 대한 가스 수수료를 낮출 것

이더리움은 올해 서지(Surge) 업그레이드 시작

샤딩을 통해 컴퓨팅 용량을 증가시킬 것입니다.

 

비탈릭 부테린이 공개한 이더리움 로드맵에 따르면 이더리움 개발자들은 2023년 중반에 EIP-4844를 출시할 계획이며,

이는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크게 향상할 것이며 그와 동시에 레이어 2의 확장성도 더욱 향상될 것

 

3. ETH 스테이킹 강화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비율은 다른 많은 퍼블릭 체인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낮은 수준

그러나 다른 체인들의 높은 스테이킹 비율은 높은 APY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이는 쉽게 스테이킹된 토큰의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반면 이더리움은 머지 이후 디플레이션 상태

이더리움 생태계가 확장됨 => 따라 스테이킹에 대한 이더리움의 이코노믹 인센티브는 지속 가능하고 유지될 것

이더리움 스테이킹

결과적으로 샤펠라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 스테이킹 호황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

특히 리도는 4월 6일 기준 TVL이 111억 6천만 달러, APY는 4.3%로 

이더리움 스테이킹 분야에서 독보적인 선두를 유지

 

 


BNB = 바이낸스 코인인데요.

 

워낙 유명해서 뭐하는 코인인지는 설명이 필요 없을 거 같습니다.

 

비트코인이 많이 떨어져서 BNB도 가격이 많이 내려간 모습입니다.

 

이건 진짜 매집의 기회로밖에 보이지않는데요

 

400-410불 매집 후 470~500불 이상에서 단기로 매도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도 꽤 짭잘하겠죠잉? 지금 사는 거 무서운 거 압니다. 하지만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거 당연 한거죠잉??

 

 

BNB 코인은 바이낸스에서 매집할 수 있습니다. 아직 가입이 안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여 가입해주세요!!

https://hot-issue007.tistory.com/49

 

아직도 국내 거래소만 사용?? 세계 1위 바이낸스 가입 방법 및 사용법

업비트/빗썸에서 존재 하지 않는 유망한 코인들이 해외 거래소에 많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코인 갯수를 늘려주는 스테이킹 서비스도 존재하지 않는데요. 여러가지 이유로 우리는 꼭 해외 거래

hot-issue007.tistory.com

 

 

 

 

 

 

 


+2022/01/12

 

계획 성공

 

468불에 반 매도하였습니다. 비트코인 상황 보면서 대응하시면 될 꺼 같습니다.

 

수익 축하드립니다! 저점에 매수 성공!

 

P.S 바이낸스 거래소는 일단 가입해두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